https://www.acmicpc.net/problem/1850
1850번: 최대공약수
모든 자리가 1로만 이루어져있는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와 B의 최대 공약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가 111이고, B가 1111인 경우에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1이고, A
www.acmicpc.net
문제
모든 자리가 1로만 이루어져있는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와 B의 최대 공약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가 111이고, B가 1111인 경우에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1이고, A가 111이고, B가 111111인 경우에는 최대공약수가 111이다.
입력
첫째 줄에 두 자연수 A와 B를 이루는 1의 개수가 주어진다. 입력되는 수는 263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A와 B의 최대공약수를 출력한다. 정답은 천만 자리를 넘지 않는다.
풀이
n자리의 1로만 이루어진 수를 N, m자리의 1로만 이루어진 수를 M이라고 하자. (n >= m)
우리가 구해야하는 것은 N과 M의 최대 공약수, GCD(N, M)이다.
유클리드 호제법을 무작정 적용하면 n, m의 크기 제한이 2^63보다 작은 자연수이기 때문에, N, M을 너무 큰 수가 되어 담을 자료형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N과 M이 모든 자릿수가 1로만 이루어진 수라는 성질을 이용하자.
n - m 이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므로, N은 10^(n-m) * M + 10^(n-m-1) + ... + 1 꼴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N을 M의 배수를 자릿수 단위로 묶어서 GCD 연산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 0≤ n-km < m 을 만족하는 자연수 k는 항상 존재한다. (n ≥ m), n부터 n-km 까지는 k개의 묶음으로 N의 일부를
M의 배수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우리가 고려해야할 자리수는? 10^(n%m) 부터만 다시 고려하면 된다.
위의 연산에서 종료조건은 언제일까?
n이 m으로 완전히 나누어지는 순간, 즉, n%m=0인 순간의 m이 최대 공약수의 자리수가 될 것이다.
'Problem Solving > 백준 1일 1커밋'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5591 MooTube (0) | 2022.03.23 |
---|---|
백준 1759 암호 만들기 - C++ (0) | 2022.03.19 |
백준 Load Balancing (Silver) 11997 - C++ (1) | 2022.02.13 |
백준 2370 시장 선거 포스터 - C++ (0) | 2022.02.11 |
백준 8903 장비 - C++ (0) | 2022.02.05 |